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대상자의 혈청나트륨보다 투석액의 나트륨농도경사를 개별적으로 낮게(1mEq/L or 2mEq/L or 3mEq/L) 적용 후 혈압의 변화 차이를 확인한다.
대상자의 혈청나트륨보다 투석액의 나트륨농도경사를 개별적으로 낮게((1mEq/L or 2mEq/L or 3mEq/L) 적용 후 투석 간 체중 증가의 변화 차이를 확인한다.
대상자의 혈청나트륨보다 투석액의 나트륨농도경사를 개별적으로 낮게(1mEq/L or 2mEq/L or 3mEq/L) 적용 후 갈증의 변화 차이를 확인한다.
대상자의 혈청나트륨보다 투석액의 나트륨농도경사를 개별적으로 낮게(1mEq/L or 2mEq/L or 3mEq/L) 적용 후 대상자의 투석 중 불편감(근육경련, 저혈압, 오심/구토) 호소 정도의 변화를 확인한다.
3. 용어의 정의
개별적 저 나트륨 혈액투석(Individual hyponatremic hemodialysis): 투석 기계에 설정된 투석액 나트륨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설정한 것을 말하며[14], 본 연구는 환자의 투석 전 혈청나트륨농도를 12주동안 매4주마다 실시하는(즉 매월 초) 시행하는 정기검진에서 구한 혈청 나트륨 총 3회의 측정한 값의 평균을 기준으로 투석액 나트륨농도를 1mEq/L, 2mEq/L또는 3mEq/L의 농도 경사가 낮게 유지되도록 하여 개별적으로 적용한 투석액 나트륨농도를 의미한다.
혈압(Blood Pressure): 혈압은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박출된 혈액이 전신으로 운송되어 나갈 때의 혈관 내 압력을 말하며[16], 본 연구에서 혈압은 누워있는 자세로 상완 혈압을 혈액투석시작 직전과 혈액투석 종료 직후의 측정한 값으로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을 말한다.
투석 간 체중증가: 혈액투석환자에서 투석을 마친 다음부터 다음 투석까지의 체중증가를 의미하며[17], 본 연구의 투석 간 체중증가는 현 체중에서 마지막 혈액투석 후의 체중을 뺀 값이며, 전자식 저울(R-300, CAS, KOREA)을 이용하여 혈액투석 직전의 체중과 이전 혈액투석 직후의 체중 간의 차이를 계산한 값으로 측정하였다[17].
갈증: 갈증은 투석 후 12시간 동안 환자가 주관적으로 자각한 목마름의 유무를 의미하며[12], 본 연구는 Thomson[18]이 개발하고 Casper 등[19]이 투석 환자의 갈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로 측정한 값을 말한다.
투석 중 불편 감: 투석 중 발생할 수 있는 불편감은 투석 중·후 근육경련, 오심/구토 등을 말하며[14], 선행 연구에 따라 본 연구의 투석 중 불편감은 근육경련, 저혈압, 오심/구토를 말한다. 근육 경련은 투석 중 다리에 “쥐가 난다”, “저리다” 또는 옆구리가 “결리다”의 표현을 의미하고, 저혈압은 혈압이 정상보다 낮은 것을 의미하는데 투석 중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하거나 30분 이내에 30mmHg이상 강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오심/구토는 투석 중에 메스꺼움을 느끼거나 토사물이 1회 이상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2) 제외 기준
3. 연구 도구
갈증 척도: 갈증은 투석 후 12시간 동안 환자가 주관적으로 자각한 목마름의 유무를 의미하며[9], 본 연구는 Thomson[18]이 개발하고 Casper 등[19]가 사용한 도구로써 투석 시행 후 12시간동안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갈증 정도를 말하며 Likert-scale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를 말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갈증 정도가 심함을 의미한다. Casper 등[1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0.87이었으며 본 연구는 Cronbach’s α=0.97 이었다.
생화학적 검사: 생화학적 검사는 나트륨을 측정하였는데 5cc의 혈액을 seperated serum tube(SST)에 채취한 후 B소재 C 병원의 진단 검사실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Modular system장비를 이용, 자동분석으로 계산한 값이며, 정상 범위는 135-145mEq/L이다. 본 연구에서 환자의 혈액투석 전 혈청나트륨농도는 사전조사기간인 12주동안 매 4주마다 한번씩 측정한 값 총 3회의 평균을 산출한 값과 마찬가지로 중재 기간인 12주동안 매 4주마다 한번씩 측정한 값 총3회의 평균을 산출한 값을 구하였다.
혈압: 본 연구에서 혈압은 혈액투석시작 직전과 혈액투석을 종료 직후의 측정한 값으로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을 말한다. 사전조사기간인 12주동안 매 4주마다 한번씩 측정한 값 총 3회의 평균을 산출한 값과 마찬가지로 중재 기간인 12주동안 매 4주마다 한번씩 측정한 값 총3회의 평균을 산출한 값을 구하였다.
투석 간 체중: 본 연구의 투석 간 체중증가는 현 체중에서 마지막 혈액투석 후의 체중을 뺀 값이며, 전자식 저울(R-300, 카스, KOREA)을 이용하여 혈액투석 직전의 체중과 이전 혈액투석 직후의 체중 간의 차이를 계산한 값으로 측정하였다[17]. 사전조사기간인 12주동안 매 4주마다 한번씩 측정한 값 총 3회의 평균을 산출한 값과 마찬가지로 중재 기간인 12주동안 매 4주마다 한번씩 측정한 값 총3회의 평균을 산출한 값을 구하였다.
투석 중 불편감: 본 연구에서 불편감은 근육경련, 저혈압 증상, 오심/구토를 말하며, 근육 경련은 투석 중 다리에 “쥐가 난다”, “저리다” 또는 옆구리가 “결리다”의 표현으로 혈액 투석 동안 발생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4. 연구 진행 절차
1) 사전 조사
2) 실험 중재
3) 사후 조사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Table 1.
Category | 1 group† (n=15) | 2 group‡ (n=18) | 3 group§ (n=15) | χ2 or F | p | |
---|---|---|---|---|---|---|
|
||||||
n (%) or M±SD | n (%) or M±SD | n (%) or M±SD | ||||
|
||||||
Age (yrs) | 62.67±2.630 | 60.39±9.948 | 52.20±11.767 | 3.54 | .118 | |
Gender | Male | 8 (53.3) | 9 (50.0) | 7 (46.7) | .13 | .936 |
Female | 7 (46.7) | 9 (50.0) | 8 (53.3) | |||
Education | Elementary school | 4 (26.67) | 2 (11.11) | 2 (13,33) | 1.93 | .157 |
Middle school | 5 (33.33) | 6 (33.33) | 6 (40) | |||
High school | 6 (40) | 6 (33.33) | 7 (46.67) | |||
College | 0 | 4 (22.23) | 0 | |||
Occupation | Yes | 1 (6.7) | 6 (33.3) | 2 (13.3) | 4.24 | .121 |
None | 14 (93.3) | 12 (66.7) | 13 (86.7) | |||
Religion | Yes | 9 (60.0) | 4 (22.2) | 7 (46.7) | 5.03 | .094 |
None | 6 (40.0) | 14 (77.8) | 8 (53.3) | |||
Causal disease | Diabetes | 9 (60.00) | 8 (44.44) | 6 (40,00) | 3.28 | .160 |
Hypertension | 6 (40.00) | 10 (55.56) | 8 (53.33) | |||
Etc. | 1 (6.67) | |||||
Urination | Yes | 4 (26.7) | 5 (27.8) | 4 (26.7) | .01 | .996 |
None | 11 (73.3) | 13 (72.2) | 11 (73.3) | |||
Hemodialysis period (mms) | 75.00±61.351 | 82.67±89.579 | 78.80±44.502 | .05 | .948 | |
Blood | Systolic p. | 146.66±20.46 | 149.11±11.66 | 146.86±16.84 | .11 | .892 |
Pressure (mmHg) | Diastolic p. | 82.28±3.57 | 80.55±10.00 | 79.47±10.93 | .23 | .795 |
Inter-dialytic weight gain (kg) | 2.65±.58 | 2.82±.78 | 3.31±1.03 | 2.65 | .820 | |
Thirst (point) | 39.24±12.84 | 38.51±11.04 | 44.08±8.55 | 1.20 | .311 | |
Intradialytic discomfort (Number of times) | Muscle clamping | .04±.67 | .09±.19 | .13±.43 | .37 | .696 |
Low blood pressure | .22±.35 | .16±.42 | .24±.58 | .13 | .880 | |
Nausea/Vomiting | 0 | 0 | 0 | 0 | 0 |
2. 투석 액의 나트륨농도경사에 따른 세 군간의 비교
Table 2.
Category | 1 group† (n=15) | 2 group‡ (n=18) | 3 group§ (n=15) | χ2 or F | p | ||
---|---|---|---|---|---|---|---|
|
|||||||
n (%) or M±SD | n (%) or M±SD | n (%) or M±SD | |||||
|
|||||||
Blood Pressure (mmHg) | Male | Pre|| HD# | 146.66±20.46 | 149.11±11.66 | 146.86±16.84 | .11 | .892 |
Post¶HD# | 144.47±16.80 | 144.74±8.72 | 142.97±10.76 | .09 | .911 | ||
Female | Pre|| HD# | 82.28±3.57 | 80.55±10.00 | 79.47±10.93 | .23 | .795 | |
Post¶HD# | 79.89±9.23 | 80.98±10.76 | 78.47±7.64 | .29 | .749 | ||
Inter-dialytic Weight Gain (kg) | Weight | Pre|| HD# | 2.65±.58 | 2.82±.78 | 3.31±1.03 | 2.65 | .82 |
Post¶HD# | 2.40±.62 | 2.64±1.35 | 2.92±.84 | 1.03 | .366 | ||
Thirst (point) | Pre|| HD# | 39.24±12.84 | 38.51±11.04 | 44.08±8.55 | 1.20 | .311 | |
Post¶HD# | 28.69±9.77 | 25.02±5.13 | 28.40±6.22 | 1.36 | .267 | ||
Intradialytic Discomfort (Number of times) | Muscle Clamping | Pre|| HD# | .04±.67 | .09±.19 | .13±.43 | .37 | .696 |
Post¶HD# | .04±.12 | .11±.20 | .18±.33 | 1.26 | .294 | ||
Low blood pressure | Pre|| HD# | .22±.35 | .16±.42 | .24±.58 | .13 | .880 | |
Post¶HD# | .20±.45 | .30±.56 | .49±.60 | 1.11 | .339 | ||
Nausea/Vomiting | Pre|| HD# | 0 | 0 | 0 | 0 | 0 | |
Post¶HD# | 0 | 0 | 0 | 0 | 0 |
3. 투석 액의 나트륨농도경사를 1mEq/L낮춘 그룹의 비교
Table 3.
Category | Variable | Pre|| HD# | Post¶HD# | t | p | |
---|---|---|---|---|---|---|
|
||||||
M±SD | M±SD | |||||
|
||||||
1 group† | Inter-dialytic Weight Gain (kg) | 2.65±.57 | 2.39±.61 | 3.29 | .005* | |
Thirst (point) | 39.24±12.84 | 28.68±9.76 | 3.34 | .005* | ||
Intradialytic Discomfort (Number of times) | Muscle clamping | .04±.17 | .04±.12 | 0 | >.999 | |
Low blood pressure | .22±.45 | .20±.45 | .37 | .719 | ||
Nausea/Vomiting | 0 | 0 | 0 | 0 | ||
2 group‡ | Inter-dialytic Weight Gain(kg) | 2.81±.78 | 2.64±1.35 | .69 | .499 | |
Thirst (point) | 38.52±11.04 | 25.02±5.13 | 7.2 | <.001** | ||
Intradialytic Discomfort (Number of times) | Muscle clamping | .09±.19 | .111±.19 | -0.33 | .749 | |
Low blood pressure | .17±.42 | .30±.56 | -1.07 | .299 | ||
Nausea/Vomiting | 0 | 0 | 0 | 0 | ||
3 group§ | Inter-dialytic Weight Gain (kg) | 3.31±1.03 | 2.92±.77 | 2.55 | .023* | |
Thirst (point) | 44.06±8.50 | 28.40±6.22 | 11.16 | <.001** | ||
Intradialytic Discomfort (Number of times) | Muscle clamping | .13±.43 | .18±.33 | -.40 | .698 | |
Low blood pressure | .24±.58 | .49±.60 | -1.91 | .077 | ||
Nausea/Vomiting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