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명 | ||||
---|---|---|---|---|
분류 | 기준 | 점검(“√”표시) | ||
유사도 검사 | 10% 미만 (참고문헌, 서식 틀 제외) | |||
제목 | 국문과 영문으로 기술하고 영문은 첫 글자만 대문자로 기술 인간 대상의 연구는 국가명을 기술하며, 제목 마지막에 콜론을 하고 연구설계를 기술 |
|||
한글논문의 경우, 영문제목과 한글제목의 일치성 확인 | ||||
영문초록 | 단어: 250단어 이하(제목 제외) | |||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의 소제목 하에 단락구분 없이 작성 | ||||
Pearson‘s correlation-->Pearson correlation으로 | ||||
10 미만 숫자를 영문으로 표기하는 경우라도 단위와 함께 사용할 경우는 숫자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 week, 1 month, 3 months | ||||
SPSS 표기 통일(SPSS version 23.0) | ||||
통계량은 소숫점 둘째자리, p값은 소숫점 세째자리 | ||||
키워드 | Mesh term으로 (https://www.ncbi.nlm.nih.gov/mesh/) | |||
5개 이내(가능하면 MeSH 용어 사용, 국문 주요어와 순서 일치시켜 표기), 영문논문의 경우 국문주요어 삭제 | ||||
키워드는 첫 글자만 대문자(두 단어 연결된 경우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 | ||||
본문 기술 |
구성 | 제목-서론(연구배경, 목적)-연구방법(연구설계, 연구대상, 연구도구ㅡ 자료수집, 자료분석, 윤리적고려)-연구결과-논의(제한점, 기초간호학 적용 포함)-결론(제언포함) (문헌고찰은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으로 구성, 질적연구 또는 종설논문은 구성변화가능) |
||
학술용어 | 대한의사협회발행 의학용어집 최신판에 수록된 것을 준용여부 확인함 https://term.kma.org/search/list.asp |
|||
기본 | 자료수집 한 구체적 기관명 제시 | |||
기본 | 오본문 전체 검독, 오자 & 탈자(표기실수, error 포함) 확인 | |||
기본 | 하이픈 다음은 소문자로 통일 | |||
기본 | 음수인 경우 마이너스 기호를 사용 | |||
기본 | Cronbach’s alpha, r, p 값 소숫점 앞에 0없음 | |||
연구대상 | 연구대상이 사람인 경우 생물학적 성(Sex), 사회문화적 성(Gender) 적절히 선택하여 표기했는지, 동물인 경우 생물학적 성(Sex) 으로 표기(DOI: 10.12771/emj.2024.e10 Figure 1 참조) 사람의 경우, Sex: Men/Women으로, Gender: Male/Female/Transgenders 동물의 경우, Sex: Male/Female로 통일. 성별을 결정할 수 없을 때만 “혼합(mixed)” 또는 “미상(unknown)” 용어를 사용 |
|||
윤리적 고려 |
인간대상자의 “자발적 동의”, “설명후 동의서를 받음”의 내용 포함 | |||
표, 그림 |
수 | 총 5개 이내, 영문작성, 표와 그림이 겹치지 않음, 5개 이상일 경우 Appendix로 본문에 표와 그림이 번호 순서대로 언급되어 있음 |
||
제목 | 표의 경우 '상단'에 위치, 관사와 전치사 빼고 '제목 주요 단어 첫 자를' 대문자 표기 예: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그림의 경우 '하단'에 위치, '제목 첫 글자만' 대문자 표기 예: Figure 1. Weekly body weight gain. 제목의 대상자수 N은 대문자 |
|||
표내용 | 두 단어 이상의 경우, 첫단어의 첫 자만 대문자 표내용의 대상자수 n은 소문자 |
|||
수치가 본문 내용(연구결과)과 일치하고 오자가 없음 | ||||
표에서 제시한 내용의 완성도 (빈도와 백분율의 경우 각 항목의 합이 100 또는 100% 인지 여부, 부등호 방향이 올바른지 등) | ||||
M, SD, 검정값(t, F, χ2 , r)은 소수점 2자리까지 기재 %는 소숫점 1자리까지 기재 |
||||
소수점은 그 숫자 값이 ‘1’을 넘을 수 있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고, ‘1’을 넘을 수 없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지 않음 예: t=0.26, F=0.92 예: p<.001, r=.14, R2 =.61 |
||||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 는 이탤릭체 소문자로, p 값은 각주를 붙이지 않고 값을 그대로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기재 예: p=.003, p 값이 .000으로 나올 경우에는 p<.001로 기술함 |
||||
사후검정에 대한 각주 설명, 표안 기호 확인 | ||||
M±SD로, M, SD 각주에 약어설명 | ||||
삽입 | 각각 별도의 페이지에 배치, 본문에는 삽입 위치만 표시 | |||
단위 | 모든 측정 단위와 농도 단위 기재 | |||
약어 설명 | 각주는 기호를 써서 설명하며 기호는 다음 순서로 사용하고, 어깨 기호로(†, ‡, §,∥, ¶, #, **, ††)된 부분의 설명은 표의 좌 하단에 표기 예: †Multiple responses |
|||
표 밑에 각주에서 설명. 표에 사용한 비표준 약어는 모두 표의 하단 각주에서 설명. 예: BP=Blood pressure; BT=Body temperature. |
||||
그림 | 동일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인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기입(예: Figure 1-A, Figure1-B). | |||
조직 표본의 현미경 사진의 경우 조직 부위명, 염색 방법 및 배율을 기록 | ||||
reference | 본문인용 | 본문 인용시 []표시, 두 개[2,5], 3개 이상[2-5]으로 표기함 | ||
본문 인용시 두 명 저자 Kim과 Lee [12], Jones and Smith [12] 확인 | ||||
세 명 이상 저자 Kim 등[10], Jones et al. [3]으로 표기함 | ||||
참고문헌 리스트 |
참고문헌목록 영어로 표기, NLM style 확인 학술지명은 full name 작성 author(s). paper title. 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title, the year, place. place: Publisher; year of publication. page number. 학위논문의 구분([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표시 학술지 페이지가 호에 따라 새롭게 시작하는 경우에는 권(호) 모두 기재, 학술지 페이지가 동일 연도에 연속되는 경우에는 (호)를 생략 |
|||
참고문헌목록 50개 이하, 본문번호 순으로 나열함(문헌고찰 연구 제외) | ||||
참고문헌목록 DOI 표기 (https://doi.org/~)임 | ||||
정확한 저자명,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 확인 | ||||
대문자 (학술지명은 각 단어마다, 책·학위논문·보고서 제목은 첫 자만) | ||||
외국문헌: 구글, 국내문헌: 네이버 검색 (검색 안 되는 문헌은 파란색 표시) |
날짜: 교신저자명: (인) (인)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Print ISSN: 2383-6415
Online ISSN: 2383-6423